금리 인하, 요즘 은행 금리 낮아지는 이유?(초보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

요즘 은행의 예금이나 적금의 금리를 보면 이자율이 낮아지고 있는거 확인하셨을까요? 옛날 시대 드라마를 보면 적금 금리가 15%, 17% 까지 이자율이 높았었는데, 요즘은 2%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럼 왜 이렇게 은행의 금리가 낮아 졌는지 쉽게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금리는 누가 정하지?

금리는 “기준금리“에 따라 변하게 됩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경제 상황에 맞게 정하는 것입니다.(다른 글에서 설명해놨습니다. 확인 부탁드려요.)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은행금리도 함께 낮아지고,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은행금리도 함께 높아집니다.

최근 기준금리가 낮은 이유?

현재 대한민국의 기준금리는 2.75% 로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경기 회복이 더뎌지고 있고, 가계 부채의 부담이 여전히 크게 느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더 이상 동결하거나 높이면 더 어려워 질 수 있어서 입니다.

시중 은행의 금리가 낮은 이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2.75% 로 발표 하여, 시중은행들도 기준금리를 참고하여 상품 금리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요즘 시중은행의 금리는 2%대의 상품들도 많이 보이는 이유가 바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에 따른 결과라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금리가 낮은 현재 상황에 맞는 투자 방향

금리가 낮다고 하여 예금, 적금을 절대 안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본인의 투자 성향과 자산에 맞게 적절하게 투자한다면 수익이 따를 것 입니다.

그렇다면, 금리가 낮은 경우에는,
1.실물자산 투자 – 금리가 낮다는 것은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므로, 실물 자산인 부동산, 금 등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
2.배당주 투자 – 배당주 혹은 배당ETF를 통하여 현금흐름을 만들어 안정적인 수입을 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3.성장주 투자 –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주식에 투자하여 인플레이션을 이길 수 있는 투자를 추천합니다. 단기 수익이 아닌, 최소 10년 이상을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4.자기계발 – 금리가 낮아질 경우, 현금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손해 ( 화폐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자도 좋지만 미래의 자신을 위해 자기계발에 투자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결론 : 금리가 낮아 진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금리가 낮아진다고 불평불만 하지 마세요. 금리가 낮아지는 상황이라면, 기준금리가 낮아졌구나 그럼 화폐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실물자산에 투자를 더 해야겠다. 금리가 오를 경우를 대비하여 자기계발을 해야겠다. 등등의 대비를 통해 저금리 시대를 현명하게 보내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