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 이해하고 투자하기 : 물가 하락의 경제학

1.디플레이션의 정의와 기본 개념 이해

  • 디플레이션이란? – 쉽게 말해 물건의 가격이 작년에 1000원 이였던 것이, 올해는 900원으로 싸진 것을 말하며, 화폐의 가치가 올라서 같은 돈으로 더 많은 물건을 살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 인플레이션과의 차이점? – 인플레이션은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말하고, 디플레이션은 화폐가치가 올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은 돈이 세상에 많이 풀려서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서 물건 값이 올라가서 우리가 말하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고, 디플레이션은 사람들이 돈을 쓰지 않고 수요가 없는데도 공급이 많아 물가가 하락하는 경우입니다.

2.디플레이션이 생기는 원인

  • 수요가 공급보다 적을 때 발생 – 기업이 만든 상품 보다 사람들이 찾는 수요가 적을 때 발생합니다.
  • 시중에 통화량이 줄어들면 발생 –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거나, 돈을 공급하는 양을 줄이면, 사람들은 소비보다 저축을 하고, 물건을 구매 안함으로써 발생합니다.

3.대표적인 디플레이션 실제 사례 (일본)

  • 잃어버린 20년 – 1990년대 일본은 거품경제가 무너지며 약 20년간의 경기 침체를 겪었습니다.1980년대 부동산, 주식등 자산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했다가 갑자기 상승했던 거품이 빠지며 급격히 하락하여 일본인들은 소비를 줄여 물가가 계속 떨어진 현상을 말합니다.

4.디플레이션 대응 정책

첫번째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필요합니다. 통화정책으로는 금리를 인하하고 양적 완화를 통해 경기 부양을 목표로 하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정부에서 정책상 세금 감면등 혜택을 줌으로 통화량이 늘어 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세번째는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꽤하는 것입니다.

5.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개인들의 재정 관리 방법

  1. 유동성 확보 (현금 보유하기) – 화폐의 가치가 높아지는 디플레이션 상황에 현금을 일정 비율 확보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부채 상환하기 (대출 금지) – 돈의 가치가 오르기 때문에 이자를 내기 힘들고, 상대적으로 갚는게 더 힘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기존 대출은 상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소비를 현명하게 하고, 추가 소득을 만드는 노력을 추천합니다.

6. 결론

디플레이션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디플레이션 상황일 경우를 대비하는 것은 물론 디플레이션이 왔을 경우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며, 나아가 자산을 늘릴 수 있도록 준비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고 투자 공부는 저와 함께 앞으로도 잘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