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국민연금’ 검색하면, 2030은 어차피 못받을 것이라는 회의감, 5060은 먼저 수령 가능하다면 먼저 수령해야지 하는 조급함들이 많이 보입니다. 국민연금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 한다면 조급함도 회의감도 안들 수 있을 것입니다.
1. 2030의 불안감 : 힘들게 번 돈으로 국민연금 매달 내는데 어디로 가는거야?
2030세대가 국민연금을 믿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불신’ 입니다.
하지만 2025년 기준 국민연금 적립금은 약 1,000조원 이상, 2060년까지 지급 가능성 보장, 이후에도 보험료율 조정으로 연장 가능하다는게 정부 공식 발표입니다.
즉, 지금의 20~30대가 연금을 수령할 나이가 될 무렵에도 국민연금 제도는 살아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단, 수령 개시 나이가 상승할 수도 있고, 수령액 축소 같은 조건은 변경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5060의 조급함 : 연금 개시나이가 오기전에 받는 방법 없나? 얼른 받아야 본전인데.
반면 50~60대는 60세 조기 수령을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조기수령에는 평생 최대 30% 감액 됩니다. 즉, 65세에 월 100만원 받을 수 있는 사람이, 60세 조기 수령을 신청하면 월 70만원 수준으로 고정 되게 됩니다. 그래서 몸이 건강하고, 소득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65세 나 70세 연기 수령을 선택하는게 훨씬 유리 합니다. ( 70세 연기 수령시 : 최대 36% 가산 )
3. 국민연금은 ‘게임’이 아닌 ‘전략’!
국민연금은 단순한 저축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언제 받는게 유리한지, 얼마나 오래 살지, 다른 소득은 있을지 등등을 꼼꼼하게 따져 이득을 보는 전략형 연금 시스템 입니다.
선택 | 수령액 | 유리한 사람 |
조기 수령 (60세) | 정시 대비 -30% | 소득 없음/ 건강 불안 |
정시 수령 (65세) | 기준 | 일반 다수 |
연기 수령 (70세) | 정시 대비 +36% | 소득 있음/건강 양호 |
4. 일하면서 연금 받는 건 가능한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연금을 받으면서 일을 해 소득이 생기면, 연금이 줄어드나요?
답은 “네! 일정 소득이 초과 되면, 연금이 일부 감액 됩니다! 하지만, 일시적이고 제한적입니다.”
70세 이후부터는 일을 해도 감액 없이 전액 수령 가능합니다. 즉, 65세까지 전략 세우고, 70세부터는
자유롭게 받으면 됩니다.
5. 결론: 불안보다 꼼꼼한 계획이 필요
국민연금은 전략형 시스템입니다. 조건에 따라 받는 방법이 달라지므로 조건을 잘 확인하고, 계획을 잘 세워 2030은 변화를 인정한 설계로 , 5060은 장기적 시뮬레이션으로 본인에게 유리한 국민연금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